티스토리 뷰
전 국민 티켓팅 시즌인 추석 기차표 예매가 다가왔습니다. 아래 KTX, SRT 사전접수 일정부터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특히, 사전접수는 성공 확률이 굉장히 낮으니 도전하신 후에 취소표를 노리시기 바랍니다! 꿀팁 부분에 취소표를 예매하는 방법을 자세히 작성하였으니 확인하시고 꼭 추석 기차표 예매를 성공하시기 바랍니다.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바로 사전 접수로 넘어가시길 바랍니다.
추석 기차표 사전 접수 바로가기
추석 승차권 열차 시각 조회 | 추석 승차권 잔여석 현황 |
목차
추석 기차표 예매 일정
KTX 예매 일정
날짜 | 시간 | 매체 | 노선 |
8월 29일 (화) | 09:00 ~ 15:00 | 홈페이지 | 전 노선 (경로, 장애인 우선 예매) |
09:00 ~ 15:00 | 전화접수 (1544-8545) | 경부,경전,동해,대구,충북,경북,중부내륙, 동해남부선 | |
8월 29일 (화) | 07:00 ~ 13:00 | 홈페이지 | 호남, 전라, 강릉, 장흥, 중앙, 태백, 경춘, 영동(일부역제외)선 *영동선:영주~동백산 구간 운행중지 |
8월 29일 (화) | 07:00 ~ 13:00 | 홈페이지 |
취소표는 9월 3일에 풀립니다.
KTX 추석 승차권 사전 예약
SRT 예매 일정
날짜 | 시간 | 매체 | 노선 |
9월 5일 (화) | 09:00 ~ 15:00 | 홈페이지 | 전 노선 (경로, 장애인 우선 예매) |
09:00 ~ 15:00 | 전화접수 (1800-0242) | 경부, 경전, 동해선 | |
9월 6일 (화) | 07:00 ~ 13:00 | 홈페이지 | 호남, 전라선 |
9월 7일 (화) | 07:00 ~ 13:00 | 홈페이지 |
취소표는 9월 10일에 풀립니다.
SRT 추석 승차권 사전 예약
추석 기차표 예약 방법
모바일 앱
🔻 KTX, SRT 어플 다운로드 바로가기 🔻 | ||
KTX | (아이폰) KTX 어플 다운로드 🔗 | (갤럭시) KTX 어플 다운로드 🔗 |
SRT | (아이폰) SRT 어플 다운로드 🔗 | (갤럭시) SRT 어플 다운로드 🔗 |
PC 홈페이지
1. 접속대기안내
2. 로그인
3. 조회 후 예약
4. 즉시예약
5. 예약결과
6. 예약대기신청 결과
7. 예약내역
8. 경로, 장애인 전용 전화 접수 안내
추석 기차표 예매 꿀팁
예매 주간의 일요일 자정
- 결제가 안된 취소표를 잡자
- 예매주간의 일요일
보통 추석과 설날 기차표를 기차표 예매 일정에 맞춰 예매를 하게 되면 해당 주의 일요일 자정까지가 결제일입니다. 보통 예매만 해놓고 결제를 안 한 표들은 이 기간 이후에 굉장히 많이 풀립니다. 결제를 하지 않은 표를 잡으려면 예매주간의 일요일은 노려보세요. 2023년의 추석 승차권 예매는 아마 9월 초인 9월 7일부터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취소표는 9월 10일 일요일 자정에 많이 풀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시로 풀리는 시간
기차표가 풀리는 시간은 새벽 2시 반에서 3시 반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취소표가 많이 풀리기도 하고 이때 취소표를 잡아서 예매성공한 분들이 많더라고요. 일단은 기차표를 못 잡았다면 이 시간대를 노려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예매 대기 걸기
전좌석이 매진인 경우에는 아래의 "예약대기' 버튼이 활성화되게 됩니다. 활성화가 된다면 원하는 시간대에 여러 개를 예약대기를 걸어놓는 겁니다. 한 번에 여러 개를 걸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앞뒤로 많이 걸어놓으신다면 전날에 표가 많이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취소표를 하나씩 잡아야하기때문에 일행이 많은 경우에는 한 번에 못 앉아가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일행별로 다르게 표를 끊어야 한다는 단점은 있습니다. 그러나 일단 잡는 게 목적이기 때문에 적극 추천합니다. 핸드폰으로 알림 설정을 해놓으면 핸드폰으로 알림이오므로 알림 설정해 놓고 기다려보시는 것도 추천입니다.
구간 예매하기
예를 들어 여러분의 여정이 서울-부산 구간이라면, 한 번에 표를 찾기에 굉장히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나눠서 표를 끊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시간이 잘 맞는다면 바로 한 번에 가서 기차 안에서 자리만 이동해도 되지만 정 안된다면 플랫폼에서 조금 기다리셔서 다음 기차를 타시는 한이 있더라도 그렇게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예를 들어 서울-부산의 구간이라면, 서울 -천안 - 대전 - 동대구 -부산 이런 식으로 나눠서 표를 끊는 거죠. 어떤 구간은 자리가 특실이 날 수도 어떤 구간은 입석이 날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일행이 없고 혼자서 가거나 두 명만이 갈 때만 추천합니다. 직접 해보니 굉장히 번거롭거든요, 표 관리도 헷갈리고요. 그래도 가긴 가야 하니 이 방법도 하나의 옵션이 될 수 있습니다.
서울 부산의 경우 아래와 같은 역들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서울-광명-오송-대전-동대구-신경주-울산(통도사)-부산
- 서울-광명-천안아산-대전-김천구미-동대구-울산(통도사)-부산
- 서울-대전-서대구-동대구-부산
추석 기차표 환불 위약금
추석 기차표 사전 예매 후 환불시 위약금 안내입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출발 하루 전에도 취소표가 많이 발생할 거 같네요 .